라이프/건강

골밀도 검사 수치, 검사비용 팩트 정리

득뉴스 2023. 1. 2. 10:52
반응형

골밀도 검사 수치, 검사비용

골밀도 검사 수치, 검사비용 총정리

나이가 들수록 건강상태에 신경쓰게 되는데요. 건강검진 항목 중에 골밀도 검사란 무엇일까요? 골밀도 검사를 간단히 말하자면 뼈의 양을 측정하여 골다공증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몸속 뼛속 칼슘량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바로 골밀도 검사를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정확한 골밀도 수치를 모릅니다. 왜 그럴까요? 정답은 간단합니다. 골밀도 검사라는 단어가 생소하기 때문입니다. 골밀도 검사수치 및 검사 비용 정보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관련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골다공증 골밀도 진단 방법은 뼈의 밀도를 측정하는 X선 촬영법이나 초음파검사법으로 꼽히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 계측법 등이 존재합니다. 보통 DXA 방식보다 값싼 금액으로 시행할 수 있는 CT나 MRI로도 대체 가능하지만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엑스레이 같은 영상진단 장비를 갖춘 대형 병원에서 전문의에게 검사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게다가 65세 이상 여성, 그리고 70세 이상 남성일 경우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해당하므로 2년마다 한 번씩 무료 검진이 가능합니다.

골밀도 검사비용

골밀도 검사비용으로는 보통 병원마다 조금씩 상이하지만 평균적으로 5만원~10만원 입니다. 만약 본인이 65세 이상, 취약계층일 경우에는 비용 부담 없이 무료로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내에서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

 

정리하자면 고령층이나 장애인 분들은 해당 조건에 만족하면 보건소에서도 저렴하거나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또한 국가유공자라면 보훈병원에서 좀 더 저렴하게 검진이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골절 후 3개월 이내에 실시된 골밀도 검사결과지를 제출해야 의료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류에는 진단명과 질병코드가 반드시 기재되어 있어야 하며, 의사 소견서나 처방전 사본 1부씩 지참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병원마다 상이한 점이 있으니 제 글을 읽고 전화로 확인 한 번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골밀도 검사 결과 정상 수치

정상 BMD  -1.0 SD

골감소증 -1.0 SD  BMD  -2.5 SD

골다공증 BMD  -2.5 SD

심한 골다공증 BMD  -2.5 & 골절

골감소증이라고 들어보셨나요?

골감소증은 골다공증정도는 아니지만 정상 골밀도 수치보다 약해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골밀도 검사를 진행할 때 요추나 대퇴골의 T-값이 -1.0에서 -2.5 사이에 들어갈 때 골감소증에 해당됩니다.

골감소증이 이력이 있으면 정상 골밀도인 뼈에 비해 골절이 생길 위험이 높기 때문에 비타민 D 및 칼슘 섭취를 하시기 바랍니다.

 

골다공증 치료방법 팩트 알아보기

 

골다공증 치료방법 미리 예방하세요

골다공증 치료방법 골다공증 치료방법 건강 체크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질병인 골다공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몸에 이상이 올때 병원을 찾고, 막상 우리 몸 속 뼈 건강 상태

test.oxinsigh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