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장애 원인 치료방법 (실제 30년 틱장애 경험담)
틱장애 원인
틱장애 원인
안녕하세요. 틱장애 전문가 입니다. 제 지인 중 틱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이 있으며 아주 가까이서 몇 십년간 지켜본 사람으로써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선 결론적으로 냉정하게 말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어린 아동일 경우 틱장애를 고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인까지 이어졌다면 고친다기보다 완화라는 표현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만일 미래에 치료제가 나온다면 말은 다르겠지만, 현재까지 치료제는 없습니다.
틱장애는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 행동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성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헛기침 소리를 내는 사람들이 증가했습니다.
즉, 음성틱, 행동틱 두 가지가 있습니다. 주로 아동기에 발생되며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1년 이상 지속된다면 뚜렛증후군(Tourette syndrome)이라고 합니다.
뇌가 성장하지 않은 아동일 경우 만성이 되기 전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인 것은 운동입니다. 부모님이 아이에게 억제시키지 않고 밖에서 운동을 자주 시켜야 됩니다. 산소를 들이마시면서 뇌가 활성화되고 자연스레 이완요법까지 되며 답답함을 느끼지 않게 됩니다.
틱장애 원인 - 뇌 기능 이상
전문가들은 틱장애 발생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뇌 기능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전두엽 부분에서 발생하는 조절 능력 저하로 인해 근육이나 음성기관이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움직이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뇌 엑스레이를 촬영하면, 뇌 사진에 적색으로 표시가 됩니다. 뇌 기능이 원활하지 않다는 증거입니다.
이 경우 스트레스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아이는 이렇게 태어나고 싶어서 나온게 아닙니다. 부모가 모든 것을 감싸주지 않으면 안됩니다. 부모가 스트레스 받는다고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욕을 하면 안됩니다. 증상이 더 악화된다는 것만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틱장애의 또 다른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유전입니다. 주변을 잘 살펴보세요. 현재 가족이나 주변 친척중에 틱장애(뚜렛증후군)가 있는지 관찰해보시기 바랍니다. 거의 가족력인 유전이 강하기 때문에 한 두명쯤은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큽니다.
틱장애는 강박증도 동반합니다. 강박증도 생각하는 강박, 행동하는 강박이 있는데 이 것도 자신의 몸에 찾아오면 상당히 괴롭습니다. 몸을 제어하기 힘들거든요. 그래서 항상 긍정적인 생각과 행복한 에너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틱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나 어른이 있다면 사랑으로 감싸줘야 합니다. 화를 내면 상태는 더 악화될 뿐입니다.
틱장애 치료방법
틱장애 치료방법
약물치료 행동치료 등이 있습니다. 약물은 전문 의약품인 아빌리파이정, 프로작 등이 있습니다. 한방치료로 한약을 복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팩트를 말씀드리면, 약물치료는 하나의 옵션일 뿐이지 절대 치료법이 되지 못합니다. 이건 확실합니다.
자연적인 치료법이 가장 좋습니다. 음식 같은 경우 인스턴트 식품을 피하고 몸에 좋은 과일, 채소류, 탄소화물 적당량, 단백질 위주의 식단을 골고루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위에 말한 전문 의약품의 경우 부작용도 상당히 심합니다. 졸림 증상, 근육에 힘이 빠지는 증상, 어지러움 등이 발생됩니다. 그래서 약을 처방 받을때 용량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약 용량을 줄이면 되거든요. 그런데 이게 치료법이 되지는 않아요.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입니다. 나중에는 내성이 생겨 약을 평생 복용해야 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겠습니다.
칭찬해주세요. 사랑해주세요. 보듬어주세요. 안아주세요.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안됩니다.
이상으로 틱장애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 실제 상황을 토대로 말씀드렸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체온증 증상과 원인 예방법 핵심 내용
저체온증 예방법 저체온증 예방법 중요한 이유 날씨가 추워지면서 한파가 찾아왔습니다. 우리 몸 속 장기들은 36.5~37도 사이일 때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적정온도가 떨어지면
test.oxinsight.com
심근경색 초기증상 예방법, 시술 후 '고령층이 위험한 이유'
심근경색 초기증상 일교차가 큰 날씨입니다. 항상 이맘때엔 심혈관질환에 더욱 신경써야 합니다. 주로 증상 발현은 가을을 시점으로 10월부터 환자가 증가하기 시작해 12~1월에 가장 많이 나타납
test.oxinsight.com